본문 바로가기
수능 국어문제

윤선도 <어부사시가> 해설 및 해석, 그리고 문제

by 삶을 만드는 사과 2024. 11. 22.
반응형

윤선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이 연시조의 시적 관심은 강호(江湖)의 생활에서 누리는 나날의 여유로움과 아름다움에 집중되어 있다. 이로 말미암아 고양된 기쁨과 충족감은 ()’이라는 말에 압축되어 나타난다. 이 작품에서 은 구체적인 생활의 정황과 화자의 행위, 그리고 자연의 묘사 과정에서 일어나는 강렬한 도취의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이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현실 정치의 혼탁함으로부터 벗어나 자연의 아름다움과 여유로운 삶을 누리고자 하는 작자의 현실관이 반영된 것이라 하겠다. 특히, 심미적 충족과 풍부한 흥취의 공간의 형상화가 참신한 느낌을 주는 것은 자연적 대상 자체가 지닌 아름다움과 자연 경관 및 사물에 대한 묘사가 관습적이지 않은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작가 윤선도

본관 해남(海南). 자 약이(約而). 호 고산(孤山) 해옹(海翁). 시호 충헌(忠憲). 1612(광해군 4) 진사가 되고, 1616년 성균관 유생으로 권신(權臣) 이이첨 등의 횡포를 상소했다가 함경도 경원 등지에 유배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풀려나 의금부도사가 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낙향, 여러 관직에 임명된 것을 모두 사퇴했다. 1628년 별시문과 초시에 장원, 왕자사부(王子師傅)가 되어 봉림대군을 보도(輔導)했다. 1629년 형조정랑 등을 거쳐 1632년 한성부서윤을 지내고 1633년 증광문과에 급제, 문학에 올랐으나 모함을 받고 파직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 때 왕을 호종하지 않았다 하여 영덕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은거했다. 1652(효종 3) 왕명으로 복직, 예조참의 등에 이르렀으나 서인(西人)의 중상으로 사직했다가 1657년 복직되었다. 1659년 남인의 거두로서 효종의 장지문제와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문제(服喪問題)를 가지고 서인의 세력을 꺾으려다가 실패, 삼수(三水)에 유배당하였다. 치열한 당쟁으로 일생을 거의 벽지의 유배지에서 보냈으나 경사(經史)에 해박하고 의약복서(卜筮)음양지리에도 통하였으며, 특히 시조(時調)에 더욱 뛰어났다. 그의 작품은 한국어에 새로운 뜻을 창조하였으며 시조는 정철의 가사와 더불어 조선시가에서 쌍벽을 이루고 있다. 사후인 1675(숙종 1) 남인의 집권으로 신원(伸寃)되어 이조판서가 추증되었다. 저서에 고산유고(孤山遺稿)가 있다.

 

내용 정리

 

* 갈 래 : 연시조 - , , , 동 각 10(모두 40)

* 성 격 : 강호한정가(江湖閑情歌)

* 연 대 : 효종 2(1651), 고산의 나이 65세 때 해남의 부용동(芙蓉洞)에 은거하면서 지음.

* 내 용

- 춘사 : 이른 봄에 고기잡이를 떠나는 광경을 동양화처럼 그림

- 하사 : 소박한 어옹(漁翁)의 생활

- 추사 : 속세를 떠나 자연과 동화된 생활

- 동사 : 은유(隱喩)를 통해 정계(政界)에 대한 작자의 근심하는 마음 표현

* 제 재 : 어부의 생활과 자연의 경치

* 특 징

- 초장과 중장 사이, 중장과 종장 사이에 고려 속요와 같은 여음을 사용

- 종장 음수율 3 4 3 4 (이유는 분분하나 연시조로서 시상의 이어짐을 표현한 듯함)

* 의 의 : 고려말부터 작자 미상의 <어부가(漁父歌)>가 전해오던 것이 있었는데, 중종 때 이현보가 이를 바탕으로 장가 9, 단가 5수의 <어부사(漁父詞)>로 개작했고, 이것을 고산은 <어부사시사>로 만듬

* 주 제 : 강호의 한정(閑情)

* 출 전 : [고산유고(孤山遺稿)]

 

보길도와 어부사시사

 

어부사시사발문

동방에 옛부터 어부사(漁父詞)가 있었는데, 누가 지었는지 모르지만 옛시를 모아서 곡조를 이룬 것이다. 이것을 읊조리면 강바람 바다비가 어금니와 뺨 사이에서 생겨나며, 사람으로 하여금 홀연히 세상을 버리고 홀로 서려는 뜻을 갖게 한다. 그래서 농암(이현보) 선생도 좋아하여 싫증을 느끼지 않았고, 퇴계(이황) 선생도 탄상해 마지 않았다. 그러나 음향이 서로 응하지 않고, 말뜻이 아주 갖추어져 있지 않음은 대저 옛것을 모으는 데 얽매였기 때문에 옹졸한 흠을 면하지 못한 까닭이다. 나는 그 뜻을 부연하고 속된 말을 써서 어부사를 지었는데, 각각 1편으로 하고 그것을 10장으로 하였다.

(‘고산유고6하 별집 가사)

 

 

 

윤선도 <어부사시가> 해설 및 문제

압개예 안개 것고 뒫뫼희 ᄒᆡ 비췬다. ᄇᆡ떠라,ᄇᆡ떠라. 밤믈은 거의 디고 낟믈이 미러 온다. 지국총(至匊悤) 지국총(至匊悤) 어사와(於思臥) 강촌(江村) 온갖 고지 먼 빗치 더옥 됴타.       

co-langlean.tistory.com

 

반응형

'수능 국어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이 <고산구곡가> 해설 및 수능변형문제  (0) 202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