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이, <고산구곡가> 문제와 수능변형문제
co-langlean.tistory.com
고산구곡가
이이
高山九曲潭(고산구곡담)을 사람이 몰으든이
주모복거(誅茅卜居)하니니 벗님네 다 오신다.
어즙어, 武夷(무이)를 想像(상상)하고 學朱子(학주자)를 리라.
*고산구곡 : 아홉 번을 굽이도는 계곡. 이이가 학문 수양을 위해 거처하던 곳.
*주모복거 : 풀을 베어내고 집을 지어 살 곳을 정함.
*무이 : 주자가 정자를 짓고 학문을 닦던 곳.
<제1수> 고산에 정사(精舍)를 짓고 주자학을 배움
고산의 아홉 번을 굽이도는 계곡의 아름다운 경치를 사람들이 모르더니 / 내가 터를 닦아 집을 짓고 살게 되니 벗들이 찾아오는구나. /아! 주자가 학문을 닦는 무이를 생각하면서 주자의 학문을 공부하리라.
자몽 허니 블랙티의 효능과 주의할 점
1. 스타벅스 가장 인기있는 음료 최근 스타벅스에서 판매 중인 자몽 허니 블랙티는 자몽의 상큼한 신맛, 꿀의 자연스러운 단맛, 그리고 블랙티의 깊고 진한 풍미가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음료다.
f-im.tistory.com
一曲(일곡)은 어드메고 관암(冠巖)에 해 빗쵠다.
平蕪(평무)에 내 거든이 遠近(원근)이 글림이로다.
松間(송간)에 綠樽(녹준)을 녹코 벗 온 양 보노라.
*관암 : 바위의 이름, 갓같이 생긴 바위 * 거든이 : 안개가 걷히니
*평무 : 잡초가 무성한 벌판. *녹준 : 좋은 술을 담은 술통
<제2수> 관암의 아침 경치
일곡은 어디인가? 관암에 해가 비친다. / 잡초가 우거진 들판에 안개가 걷히니 원근의 경치가 그림같이 아름답구나. / 소나무 사이에 술통을 놓고 벗이 찾아 온 것처럼 (즐겨) 바라보노라.
二曲(이곡)은 어드메고 花巖(화암)에 春滿(춘만)커다.
碧波(벽파)에 곳츨 띄워 野外(야외)에 보내노라.
사람이 勝地(승지)를 몰온이 알게 한들 엇더리.
*화암 : 바위 이름, 꽃바위. *춘만 : 봄이 저물다. 혹은 봄이 가득하다.
*벽파 : 푸른 물결 *승지 : 아름다운 곳. 명승지의 준말.
<제3수> 화암의 늦봄 경치
이곡은 어디인가? 화암에 봄이 저물었도다. / 푸른 물결에 꽃을 띄워 들 밖으로 보내노라. / 사람들이 경치 좋은 이곳을 알지 못하니 알려서 찾아오게 한들 어떠리.
三曲(삼곡)은 어드메고 翠屛(취병)에 닙 퍼졌다.
綠樹(녹수)에 山鳥(산조)는 下上其音(하상기음)하는 적의
盤松(반송)이 受淸風(수청풍)한이 녀름 경(景)이 업셰라.
*취병 : 푸른 빛 병풍처럼 나무와 풀로 덮인 절벽
*하상기음 : 소리를 낮추었다가 높였다 함
*반송 : 키가 작고 가지가 옆으로 퍼진 소나무
<제4수> 취병의 시원한 여름 경치
삼곡은 어디인가? 푸른 병풍을 둘러친 듯한 절벽에 잎이 우거졌다. / 푸른 나무 위의 산새는 여러 가지 소리로 지저귀는데 / 작은 소나무가 바람에 흔들리니 여름 같지 않게 시원하구나.
세계관과 가치관 - 세상을 보는 틀과 살아가는 기준
1. 헷갈리는 두 단어, 세계관과 가치관 많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세계관’과 ‘가치관’이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하지만, 그 의미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대학 강의 중 학생들
co-langlean.tistory.com
四曲(사곡)은 아드메고 松崖(송애)에 해 넘거다.
潭心巖影(담심암영)은 온갖 빗치 잠겻셰라.
임천(林泉)이 깁도록 죠흐니 흥(興)을 계워 하노라.
*송애 : 소나무가 있는 물가의 낭떠러지 *담심암영 : 물에 비친 바위 그림자
<제5수> 송애와 연못의 저녁 풍경
사곡은 어디인가? 소나무가 있는 절벽에 해가 넘어간다. / 연못 속에 비친 바위 그림자는 온갖 빛과 함께 잠겨 있구나. / 수풀 속의 샘은 깊을수록 좋으니 흥을 이길 수가 없구나.
五曲(오곡)은 어드메고 隱屛(은병)이 보기 죠희.
水邊精舍(수변정사)는 瀟灑(소쇄)함도 가이업다.
이 中(중)에 講學(강학)도 하려니와 詠月吟風(영월음풍)올이라.
*은병 : 으슥한 병풍처럼 둘러 있는 절벽. *수변정사 : 물가에 세워진 정사. *소쇄 : 맑고 깨끗함
<제6수> 수변 정사에서의 강학과 영월음풍
오곡은 어디인가? 으슥한 병풍처럼 둘러 있는 절벽이 보기 좋구나. / 물가에 세워진 정사는 맑고 깨끗하기 한이 없다. / 이 가운데서 학문 연구도 하려니와 자연을 시로 짓고 읊으면서 풍류를 즐기리라.
六曲(육곡)은 어드메고 釣峽(조협)에 물이 넙다.
나와 고기야 뉘야 더욱 즑이는고.
黃昏(황혼)에 낙대를 메고 帶月歸(대월귀)를 노라.
*조협 : 낚시질하기에 좋은 골짜기 *대월귀 : 달과 함께 돌아옴.
<제7수> 조협에서의 낚시질과 대월귀
육곡은 어디인가? 낚시질하기 좋은 골짜기에 물이 넓구나./나와 물고기는 어느 쪽이 더 즐거운가?/이렇게 종일 즐기다가 날이 저물면 달과 함께 집으로 돌아오노라.
七曲(칠곡)은 어드메고 楓巖(풍암)에 秋色(추색)이 죳타.
淸霜(청상)이 멻게 치니 絶壁(절벽)이 금수(錦繡)ㅣ로다.
寒巖(한암)에 혼자 안자셔 집을 닛고 잇노라.
*풍암 : 단풍으로 둘러싸인 바위. *청상 : 맑은 서리. *한암 : 차가운 바위.
<제8수> 단풍으로 덮인 아름다운 가을 풍경
칠곡은 어디인가? 단풍으로 둘러싸인 바위에 가을빛이 좋다./맑은 서리가 엷게 내리니 절벽이 비단같이 아름답구나. / 차가운 바위에 혼자 앉아서 속세의 일을 잊어버렸노라.
八曲(팔곡)은 어드메고 琴灘(금탄)에 달이 밝다.
玉軫金徽(옥진금휘)로 數三曲(수삼곡)을 노는 말이,
古調(고조)를 알이 업스니 혼자 즐겨 있노라.
*금탄 : 악기를 연주하며 노는 시냇가 *옥진금휘 : 아주 좋은 거문고
<제9수>시냇가에서 거문고를 연주하여 즐김
팔곡은 어디인가? 악기를 연주하는 시냇가에 달이 밝구나. / 아주 좋은 거문고로 몇 곡을 연주하면서 / 옛 곡조를 알 사람이 없으니 혼자 즐기고 있노라.
九曲(구곡)은 어드메고 文山(문산)에 歲慕(세모)커다.
奇巖怪石(기암 괴석)이 눈 속에 뭇쳣셰라.
遊人(유인)은 오지 아니하고 볼 것 업다 하더라.
*세모 : 한 해가 저묾. *유인 : 놀러 다니는 사람.
<제10수> 눈 덮인 세모의 자연
구곡은 어디인가? 문산에 한 해가 저물었도다. / 기암 괴석이 눈 속에 묻혔구나. / 사람들은 와 보지도 않고 볼 것 없다고 하더라.
패러다임(paradigm)- 세상을 보는 틀의 전환
1. 사회 여러 분야에서 쓰이는 ‘패러다임’ ‘패러다임(paradigm)’이라는 말은 과학, 교육,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처음 이 용어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인물은
co-langlean.tistory.com
'수능 국어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선도 <어부사시가> 해설 및 해석, 그리고 문제 (0) | 2024.11.22 |
---|